제주

검색
  • 0
닫기

한덕수 대행 "제주4·3 추가 진상조사와 유해발굴 힘쓸 것"

0

-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3일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 참석
"제주4·3 희생자 추모와 유족 위로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기본 책무"
"4·3 희생자와 유족들의 완전한 명예회복에 최선의 노력 다할 것"

3일 제주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추념사를 하고 있다. 이인 기자  3일 제주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추념사를 하고 있다. 이인 기자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추가 진상조사와 유해발굴 등을 통해 4·3 희생자와 유족들의 완전한 명예회복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한 권한대행은 3일 제주4·3 평화공원에서 열린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추념사를 하고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모와 유가족 위로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기본 책무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완전한 명예회복과 보상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우선 미진한 부분에 대한 추가 진상조사를 올해 안에 마무리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유해조차 찾지 못한 분들에 대한 유해발굴과 유전자 감식에 더욱 힘쓰겠다고 한 대행은 말했다.

그는 또 생존희생자와 유족들을 돕기 위한 복지와 심리치료를 확대하고, 트라우마 치유센터 건설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뒤 4·3 기록물이 올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탄핵 정국으로 극심한 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을 의식해 나라 안팎으로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고 대한민국의 미래가 좌우될 수 있는 중대한 과제도 산적해 있다며 국민적인 통합이 절실하고 이념과 세대, 지역과 계층 간의 갈등을 넘어서지 못하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

3일 제주4.3 평화공원에서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이 열렸다. 이인 기자3일 제주4·3 평화공원에서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이 열렸다. 이인 기자
한 대행은 특히 제주 4·3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화합과 상생의 가르침을 주고 있다며 민간 희생자뿐만 아니라 군인과 경찰 희생자를 함께 추모하는 제주 영모원(英慕園)의 위령비에
화해와 포용의 정신이 새겨져 있다고 강조했다.

'모두가 희생자이기에 모두가 용서한다는 뜻으로 모두가 함께 이 빗돌을 세우나니, 죽은 이는 부디 눈을 감고 산 자들은 서로 손을 잡아라'고 새겨진 문구를 가리킨 것이다.

한 대행은 서로 용서하고 화해하며 다시 일어선 4·3의 숨결로 대한민국을 하나로 모으고, 미래로 힘차게 나아가야 하며 제주 4·3정신을 더 큰 평화의 물결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며 정부도 국민과 함께
진정한 화합과 통합의 시대를 열기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 대행은 통한의 세월을 눈물로 견뎌온 생존희생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77년 전, 제주에서 일어난 4·3 사건은 냉전과 분단의 시대적 아픔 속에서 수많은 분들이 무고하게 희생된 우리 현대사의 큰 비극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사건 이후에도 반세기가 지나는 긴 세월 동안, 억울함을 풀 길조차 없이 흩어진 가족과 무너진 공동체를 가슴에 품고 살아야 했다며 제주도민의 끈질긴 노력으로 2000년에 제주4·3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의 길이 열렸다고 밝혔다.
 
또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진상조사가 이뤄지고, 4·3 희생자 추념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해 우리 국민이 아픈 과거를 함께 기억하게 됐다며 유죄 확정판결로 큰 아픔을 겪었던 많은 희생자들이 직권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고 명예를 회복했다고 경과를 설명했다.  
 
한 대행은 이어 2022년부터는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고 지난해에는 특별법을 개정해 사실과 다르게 기록된 가족관계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됐으며 이를 통해 실제 가족임에도 권리를 인정받지 못했던 분들의 명예회복과 보상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