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최대 규모로 조성되는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태양광발전사업 부지. 제주도제주지역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 개발사업이 시행승인 고시로 가시화되고 있다. 그러나 과잉생산에 따른 출력제한이 빈번한 상황이어서 경제적 타당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마라도 면적의 2.5배나 되는 규모로 인해 환경훼손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제주도는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에 조성될 '수망태양광 발전시설 조성사업'의 시행 승인을 20일 고시했다.
1391억 원이 투입될 이번 사업은 100MW의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를 내년 7월까지 조성하게 된다.
전체 부지는 233만 7352㎡로 이 가운데 73만 2482㎡에 태양광 발전 시설이 설치되는데 이 규모만 마라도 면적(30만㎡)의 2.5배나 되고 축구장(7140㎡) 100배 크기에 달한다.
제주지역 최대 규모인데다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부지 내 나무 3만여 그루를 베어내야 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 훼손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또 이미 재생에너지가 과다 공급되면서 전력생산을 멈추는 출력제어가 빈번한 상황인데 과연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일고 있다.
출력제어는 전력수요가 낮은 봄과 가을철에 태양광과 풍력 발전의 재생에너지 생산을 멈추는 현상을 말한다.
제주지역 출력제어는 우선 풍력발전의 경우 2015년 3차례에서 △2016년 6건 △2017년 14건 △2018년 15건으로 매해 증가했다.
또 △2019년 46건 △2020년 77건 △2021년 64건 △2022 104건 등 2021년을 제외하고 매해 증가추세에 있다.
태양광 발전의 출력제한도 지난 2021년 1차례에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28차례로 늘었고 올해는 6월 말까지 51차례를 기록하면서 이미 지난해 출력제한 수를 넘어섰다.
출력제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산에너지 특구 도입과 제3해저 연계선 건설,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도입 등이 모색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또다시 대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이 추진되면서 타당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제주도의회는 여름철 식물성 조사 추가 진행, 훼손 수목 최소화 및 이식, 10년간 사업지구 내 식생변화 모니터링 등의 조건을 달아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을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