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검색
닫기

"장애인 비장애인 노력하며 조화로운 사회 만들어야"

0

- +

핵심요약

[장애공감 제주사회=제주장애인체육발전포럼 사회서비스센터 강성범 센터장]
16년째 장애인댄스스포츠 선수로 활동…국내외 다수 수상경력 베테랑 선수
"댄스스포츠는 스포츠와 예술 접목된 멋지고 재미있는 스포츠"
"성실히 연습한 노력의 결과와 운이 대회 수상 비결"
"소아마비로 지체장애 얻어 좌절 많았으나 계속 도전해 지금까지 온 것"
"한국사회 다름 인정하는 것 어려워 장애에 대해 차별 편견 있어"
"장애인 사회로 더 나와 활동하고 교류해 서로 이해하는 노력 필요"

제주장애인체육발전포럼 사회서비스센터 강성범 센터장제주장애인체육발전포럼 사회서비스센터 강성범 센터장 
■ 방송 : CBS 라디오 <시사매거진 제주> FM 제주시 93.3MHz, 서귀포 90.9MHz (17:00~17:30)
■ 방송일시 : 2023년 6월 9일(금) 오후 5시 
■ 진행자 : 박혜진 아나운서
■ 대담자 : 제주장애인체육발전포럼 사회서비스센터 강성범 센터장
 
◇박혜진>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 장애 공감 사회를 만들어 갑시다' 이 시간에는 각자의 삶에서 최선을 다하는 장애인 분들 또 열정 인생을 살아가는 분들을 만나보는 시간으로 함께 하는데요. 오늘은 특별히 장애인 댄스스포츠 베테랑 선수로 알려진 제주도장애인 댄스스포츠 연맹 소속 선수이자 또 제주장애인체육발전포럼 사회서비스센터 강성범 센터장을 스튜디오에서 만나보겠습니다. 센터장님 안녕하세요  

◆강성범> 안녕하세요.  

◇박혜진> 장애인 댄스스포츠계에서는 정말 스타시잖아요. 올해로 장애인 댄스스포츠 선수로 활동하신지 얼마나 되셨나요?  

◆강성범> 2007년부터 시작해서 16년째 선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박혜진> 해마다 경기에서 많은 메달을 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지금까지 딴 메달 개수 몇 개 정도 될까요?  

◆강성범> 사실 메달 개수를 세어본 적이 없어서 저도 알 수가 없네요. 제 생각에는 해마다 10여 개 이상 땄으니 100개는 넘었을 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박혜진> 장애인 댄스스포츠에서 빛을 발할 수 있는 비결은 뭔가요?  

◆강성범> 비결이라고 딱히 있지는 않다고 생각이 들고요. 제가 했던 노력과 다행히 운이 따라줘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박혜진> 장애인 댄스스포츠는 처음에 어떻게 접하게 되셨는지도 궁금해요.  

◆강성범> 어려서부터 운동을 좋아했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생활을 하다 보니 회식이나 기타 등등 자기 관리를 잘하지 못해서 살이 많이 쪘는데요. 그러다 보니 운동을 해야겠다 마음 먹고 있었는데 어느 날 제가 활동하는 장애인 연맹에서 운동할 사람을 모집한다고 해서 연락을 했는데 그게 장애인 댄스포츠연맹에서 휠체어 댄스스포츠 선수를 모집하는 거더라고요. 제주장애인 댄스스포츠연맹 한효심 전무 이사님과 면접을 봤고 휠체어 댄스스포츠 선수 생활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박혜진> 처음에 그냥 운동 좀 하러 갔는데 선수가 되셨어요?  

◆강성범> 그렇게 됐습니다.
 
◇박혜진> 그래도 정말 잘하셨으니까 메달도 많이 따셨던 거 아니에요?  

◆강성범> 잘했다기보다는 모든 운동이 그렇지만 오래 하면 할수록 자기가 필요로 한 부분이나 모자란 부분을 깨닫게 되는 것처럼 저도 이 운동을 하면서 못 하는 부분도 많이 있고 잘하는 부분도 있어서 이 부분에 조화를 맞추다 보니 16년이 돼 있더라고요.  

◇박혜진> 장애인 댄스스포츠의 매력은 뭐라고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강성범> 댄스스포츠는 다양한 매력이 있거든요. 스포츠 면도 있지만 예술의 면도 있거든요.  예술과 스포츠를 결합한 종목이라는 특징이 있고 음악에 맞춰 파트너와 춤을 춰야 되거든요. 팀워크도 필요로 하고 누구 하나 잘한다고 이렇게 되는 게 아니라 둘이 조화를 이뤄야 되는 종목이고 전신 운동이기 때문에 다이어트도 되고요.

체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고 특히 음악에 맞춰서 춤을 추기 때문에 스트레스도 해소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건 재미있다는 점입니다.  

◇박혜진> 오늘 이 시간은 각자의 삶에서 최선을 다하는 장애인분들을 만나는 시간인데요.  강성범 센터장님은 현재 어떤 장애를 갖고 계시나요?  

◆강성범> 두 살 때 소아마비를 앓고 지체장애를 갖고 있습니다.  

◇박혜진> 강성범 센터장님은 16년째 선수 생활하시면서 댄스 스포츠에서는 이름이 알려져 계신 분이시잖아요. 많은 분들이 선망하는데 장애로 인해서 때로 용기가 필요하실 때도 있었나요?  

◆강성범> 장애를 갖고 살아간다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제 나름대로 생각한 거는 인내와 도전하는 정신이 있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대학 입학 면접 때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입학 거부를 당한 적도 있었고 직장을 구할 때도 장애로 인해 여러 가지 난감한 상황에 처했던 적이 많았었거든요. 그럴 때 좌절도 겪었던 적이 있지만 그냥 참고 다시 도전하다 보니 오늘이 되어 있었습니다.  

◇박혜진> 그 많은 시간들을 다 돌파하신 거예요?  

◆강성범> 돌파까지는 아니고 지나온 것 같아요.  

◇박혜진> 장애인을 대할 때 비장애인들이 많이 하는 실수들이 있을 거예요. 장애인 입장에서 겪었던 부분들 보실 때 비장애인들이 조심해 주면 좋겠다 조언해 주신다면요.  

◆강성범> 아무래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갖고 계신 분들도 많고 동정하거나 불쌍하게 여기는 분들도 있고 또 무시하시고 차별하는 경우도 있거든요. 특히 한국 사회가 다르다는 부분에 익숙지 않은 면들이 많아서 그런 일들이 있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박혜진> 장애를 갖고 베테랑 댄스스포츠 선수로 지금까지 이 자리까지 오셨는데 16년째 이 자리까지 달려올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요?  

◆강성범> 비결은 제 개인적으로 없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도 오늘 하루를 보내는 데 집중했던 것 같고요. 그러다 보니 장점은 안 좋은 일이 생겼을 때 빨리 잊을 수 있는 그런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단점은 너무 무계획적으로 살아온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박혜진> 매일매일 충실하고 성실하게 연습도 하고 살아오셨기 때문에 지금의 강성범 선수가 서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장애를 가진 선배 입장에서 장애를 갖고 있는 후배들에게 바라는 말씀도 있을 것 같아요.  

◆강성범> 지금처럼 사회로 더 많이 나와서 움직여주고 목소리를 내고 비장애인 분들도 장애인분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장애인 스스로 더 노력해야 하지 않나. 요구도 당연히 해야겠지만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서로가 화합하고 조화로운 사회가 되지 않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박혜진> 올 한 해 갖고 계신 계획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시죠.  

◆강성범> 장애인 스포츠 선수로서 2023년 시즌에도 깔끔하고 멋진 춤을 춰서 좋은 성적을 내고 제주특별자치도 장애인 스포츠연맹 선수로서 제 역할을 하는 것과 현재 제가 일하고 있는 제주장애인체육발전포럼 사회서비스센터장으로서 근로지원인을 파견하는 일도 하고 있거든요. 장애인 근로자를 잘 도와줄 수 있도록 관리자 역할에도 충실히 하고 싶습니다..  

◇박혜진> 앞으로도 왕성한 활동 또 멋진 모습 기대하겠습니다. 오늘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강성범> 감사합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